568돌 한글날 맞아 한글 지하철 역명 소개
568돌 한글날 맞아 한글 지하철 역명 소개
  • 김철 기자
  • 승인 2014.10.08 13:34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서울시가 9일(목) 568돌 한글날을 맞아 서울 지하철 1~9호선 중 한글로 된 지하철 역명을 소개했다.

서울 지하철 전체 302개 역 중 29개 역(9.6%)이 한글로 되어 있거나 나루·여울 등 한글을 포함하고 있다.
*환승역은 호선별로 각 1개 역으로 구분

역 이름이 한글로 되어 있거나 한글이 포함된 역이 가장 많은 노선은 7호선으로, 전체 51개 역 중 6개 역 이름이 한글을 포함하고 있다.

지하철 역명은 서울시 조례에 따라 지명위원회의 자문 의견을 받아 서울시장이 제정하게 되어 있다. 역명을 정할 때에는 ‘옛 지명’을 최우선 순위로 정하고, 다음으로는 고적·사적 등 문화재, 고유명사화 된 공공시설 명칭 등의 순으로 정하게 되어 있다.

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지리학, 역사학, 국문학, 교통학 등 관련 학문 전·현직교수 등 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.

지역 전설 담긴 지명…둑기 세웠던 “뚝섬”, 들에 말 놓아 키웠다 하여 “마들”

먼저 지역에 서린 전설이 담긴 지명이 많다. ▴뚝섬역(2호선)은 조선시대 군대가 출병할 때 둑기(纛旗)를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하여 둑섬·둑도라 불렸던 데서 유래했으며, 실제 섬은 아니지만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인 모습이 섬 같다 하여 ‘뚝섬’이 됐다고 알려져 있다.

충정로에서 마포로 넘어가는 곳에 위치한 ▴애오개역(5호선)은 고개가 아이처럼 작다는 뜻으로 아이고개, 애고개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과 옛날 한성부에서 서소문을 통해 시체를 내보냈는데 아이 시체는 이 고개를 넘어 묻게 했다는 설 등에서 유래했다고 한다. 실제로 과거 애오개 인근에는 곳곳에 아이 무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.

▴버티고개역(6호선)은 조선시대 치안을 담당하던 군인들이 한남동에서 약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도둑을 쫓으며 ‘번도(도둑)!’라고 외치던 것이 번티→ 버티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.

▴까치울역(7호선)은 까치가 많아 ‘작동(鵲洞)’이라 불렀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마을이 작아 ‘작다’는 뜻의 우리말 ‘아치’→ 까치로 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.

▴마들역(7호선)은 역참기지가 있었던 상계동에서 들에 말을 놓아 키웠다고 해서 마들이라 했다는 설과 예전에 이 일대에 삼밭이 많아 순우리말 ‘마뜰’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, ▴노들역(9호선)은 수양버들이 울창하고 백로가 노닐던 옛 노량진을 ‘노들’이라 부르던 데서 붙여졌다.

한글·한자 조합… ‘학(鶴)’과 물살 센 곳 이르는 우리말 ‘여울’ 합해 “학여울”

한글과 한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지명이 지하철 역명이 된 경우도 있다.

▴학여울역(3호선)은 과거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대치동 인근에 백로가 자주 찾아 왔다 하여, 물살이 센 곳을 이르는 우리말 ‘여울’과 조합해 ‘학(鶴)여울’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. 학여울역 인근은 대동여지도에 ‘학탄(鶴灘)’이라고도 기록되어 있다.

서울 지하철 중에는 ▴잠실나루(2호선) ▴여의나루(5호선) ▴광나루(5호선) 등 유난히 ‘나루’가 붙은 이름이 많다. ‘나루’란 강이나 바닷목 등에서 나룻배가 서는 곳을 말하는데 지명에 나루가 붙은 곳은 오래전 나루터가 있던 곳으로 볼 수 있다.

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한 잠실(蠶室)나루역은 잠원동~점말을 건너는 나루였던 데서 붙여졌으며, 여의(汝矣)나루역은 현재 유람선 선착장이 있는 곳에 마포~여의도를 잇는 나루터가 있었던 데서 유래했다.

한글 지명이지만 한자 표기를 차용한 경우도 있다. 도곡동에 위치한 ▴매봉역(梅峰·3호선)은 산봉우리가 매와 닮았다 하여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마찬가지 ▴동작역(銅雀·4호선)도 옛 지명인 ‘동재기’가 동작으로 변한데서 유래한다.

지형·상징물 반영…성황당 있었던 “당고개”, 장독 닮은 바위산 “독바위”

▴당고개역(4호선)은 옛날에 고개에 성황당과 미륵당이 있었다 하여 붙여졌으며, 과천에 위치한 ▴선바위역(4호선)은 개천 가운데 바위가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 같아서 이름 지어졌다.

▴굽은다리역(5호선)은 현재 천호동 인근 마을인 ‘당말’과 ‘벽동’을 이어주는 다리가 굽었다 하여 곡교리(曲橋里)라 불리던 지명을, 우리말로 ‘굽은 다리’라 이름 붙였다.

불광동에 위치한 ▴독바위역(6호선)은 바위산이 마치 장독 같다 하여 지어졌으며, ▴돌곶이역(6호선)은 석관동 주변에 위치한 천장산의 모습이 검은 돌을 꿰어 놓은 것 같다는데서 붙여졌다.

▴보라매역(7호선)의 ‘보라매’는 태어난 지 1년이 안된 매를 가리키는데 지금은 청주로 옮겨갔지만 과거 대방동에 위치해 있던 공군사관학교의 상징이 보라매였던 것에서 유래했으며, ▴샛강역(9호선)은 한강 본류에서 여의도를 휘감아 돌아 나오는 샛강에서 유래했다.

서울시 백 호 교통정책관은 “지하철 역명은 단순하게 지명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역사문화 전문가, 국립국어원 등 각 분야의 문헌 참조와 고증을 통해 제정되는 것으로, 어떤 시설물보다도 지역 고유의 역사와 특색을 가장 잘 담고 있는 객관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”고 말했다.